Q-Learning
강화학습은 주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탐사해가며 미래에 주어지는 '보상' 값을 활용해 최적의 알고리즘을 찾는 학습법이다. 초기 학습데이터가 필요한 딥러닝과는 달리 초기의 학습데이터가 필요 없으며(물론 학습 데이터를 활용해서 성능을 높이기도 한다) 대신 어떤 조건에서 보상을 줄 것인지에 대한 정책과 탐사할 환경이 필요한 알고리즘이다. 국내에선 이세돌과 커제를 무참히 무찌른 알파고의 학습 알고리즘으로 알려져있다.
Q-Learning은 대표적인 강화 학습 알고리즘으로 '특정 상태에서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이 미래 보상을 가장 높여줄 것'인지에 대한 정책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알고리즘이다. 강화학습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접하는 알고리즘이며 수학 수식들이 난무해 이해하고 싶지 않고 할 수도 없을 것 같은 위키피디아 페이지와 달리 예상외로 쉽고 차근차근 학습해나가면 누구나 배울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유튜브에 쉽게 풀어 쓴 강의도 많으니 심도 있게 공부하고 싶은 분들은 여기서 공부하면 좋을 것 같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Q-Learning을 아주 쉽게 풀어 쓰지는 않고 대략적인 동작 방법과 의사 코드를 정리해 수강한 강의 내용들을 정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림 1.
Q-Learning의 현재 상태를 표현하면 위의 그림 처럼 테이블의 형태로 표현 할 수 있다. 현재 에이전트(학습하는 주체를 에이전트라고 부른다)가 있는 곳은 S로 표시된 곳이고 가야할 곳은 D이며 이곳에 도달 했을 때 보상을 받게 된다. H는 진입하면 죽는 곳이다.
그림 2.
처음 환경에 진입했을 때는 아무런 정보가 없기 때문에 이곳 저곳 다 다녀본다. 에이전트가 선택할 수 있는 방향은 동서남북중 하나인데 어떠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에이전트는 어느 곳을 선택해도 돌아오는 보상 값은 동일하다고 보고 랜덤하게 선택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다니면서 다니면서 홀에도 빠져 보고 이전에 지나친 경로들을 다시 다녀보기도 한다. 한마디로 삽질의 연속이다.
그림 3.
이렇게 우왕좌왕하면서 우연히 D 값에 도달 하기도 하는데 이때 에이전트는 처음으로 보상(reward)값을 받는다. 그리고 앞으로 움직이는 행동들은 앞서 초기화한 보상값을 활용해서 업데이트가 이뤄진다. 즉 이 상태에서는 특정 방향이 목적지에 도달할 확률이 높다고 가중치를 주는 작업이다. 지금까지를 의사코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환경 데이터 값, Q(s, a)을 초기화 한다.
2.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3. 그리고 다음의 작업을 반복한다.
- 동작을 선택하고 실행한다.
- 행동에 따른 보상 값을 받는다. reward
- 새로운 상태 값(s')을 확인한다.
- 아래의 수식으로 환경 데이터 값을 업데이트 한다
Q(s, a) = reward + Max Q(s', a')
Q(s, a)의 의미는 상태 현재 상태가 's'이고 'a' 행동을 취했을 때 얻게 될 보상 값이다. 위 그림에서는 총 25개의 상태가 있고 각 상태별로 가능한 행동이 4개가 있으니 총 100개의 환경 데이터 값이 필요하다.
그림 4.
위의 알고리즘은 최적의 값은 찾기는 하지만 보상값을 업데이트한 이후에는 똑같은 경로로 이동하게 되는 단점있다. 현재 상태의 보상 값을 바로 다음 상태의 보상 값으로 입력시키기 때문에 파란선으로 지나온 상태에서 최적의 보상을 주는 값이 이미 정해져 버리고 또 각 상태별 행동은 가장 높은 보상 값을 주는 것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매번 동일한 경로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그림 4의 빨간선을 이용하면 더 빠르게 갈 수 있지만 이 경로는 보지 못하고 이전에 학습한 경로대로만 다니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런 오류를 막기위해서 알고리즘에 두가지 노이즈를 추가한다. 미래의 보상은 시간이 지날 수록 낮춰지는 것과 행동을 선택할 때 보상값과 랜덤값을 더하는 방식이다. 두 방법 모두 에이전트에게 돌출 행동을 유도하는 일종의 트릭이다.
1. 모든 환경 데이터 값, Q(s, a)을 초기화 한다.
2.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3. 그리고 다음의 작업을 반복한다.
- 동작을 선택할 때 랜덤 값을 포함한다.
a= argmax(Q(s, a) + ramdom_value)
- 보상 값을 받는다.
- 새로운 상태 값(s')을 확인한다.
- 환경 데이터 값을 업데이트 한다
Q(s, a) = gamma * reward + Max Q(s', a'), # 0 < gamma < 1
노이즈를 준 부분을 굵은 글씨로 표시해뒀다. 행동을 선택 할 때 최적의 보상값 + random 값으로 선택하도록 했는데 이는 동서남북을 선택 할 때 각각의 보상값과 ramdom값을 더한 값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기 알고리즘은 그림 4에서 빨간선과 파란선이 갈라지는 지점(2행 3열)에서 가장 높은 보상값을 주는 파란선을 무조건 선택하게 되는데 수정한 알고리즘은 빨간선을 선택 했을 때의 랜덤값이 더 높으면 빨간선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미래에 주어지는 보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만들었다. 처음으로 받게되는 보상은 D에 도달하는 지점이었으니 빨간선과 파란선이 갈라지는 지점에서는 보상값이 꽤 많이 감가상각돼 빨간선을 택하는 것과 파란색을 택할 때의 보상값 차이가 얼마 나지 않을 것이다. 이 두가지 방법으로 에이전트는 기존 학습 데이터 값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돌출된 행동을 유도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홍콩과기대 교수님 유튜브 강의: https://www.youtube.com/channel/UCML9R2ol-l0Ab9OXoNnr7L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