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FragmentManagers Android
    개발/안드로이드 2020. 4. 6. 15:56

     

    FragmentManager는 동적인 UI를 제공하기 위한 클래스인 Fragment를 관리하는 컨트롤러 역할을 한다. Manager라는 이름에서 예상 할 수 있듯이 FragmentManager를 사용하면 현재 UI에 Fragment를 추가할 수도 있고 있는 것을 교체할 수도 있으며 제거까지 가능하다. 호출하는 함수는 Activity인지, Fragment인지에 따라 다른데 일반적으로 Activity는 supportFragmentManager를 호출하게 되고, Fragment는 childFragmentManager 또는 parentFragmentManager를 통해 호출한다. 지금까지 개발 할 때는 각각의 차이를 확인하지 않고 '일단 동작부터 되도록' 에 주안점을 뒀는데 이번 포스트를 통해서 각각의 차이점과 적절한 쓰임새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0. 정의

     

    FragmentManager의 경우에는 안드로이드 문서도 그닥 꼼꼼히 정리 되어있지 않고 스택오버플로우에서도 관심있게 다루는 주제가 아니라 참고할 만한 글이 별로 없었다. 그래서 지금까지 개발하면서 내가 나름대로 내린 사전적(?) 정의는 이렇다.

    • supportFragmentManager(SFM): Activity랑 상호작용하는(interacting) Fragment를 관리하는 클래스. Activity 클래스에서 호출이 가능하며 Activity 고유의 클래스다.

    • parentFragmentManager(PFM): 부모 UI 컴포넌트(Activity일 수도 있고 Fragment 일 수도 있다) 고유의 FragmentManager. Fragment 클래스에서 호출이 가능하다.

    • childFragmentManager(CFM): Fragment 고유의 FragmentManager 클래스. Fragment 별로 모두 다르다.

    1. 그림 

     

    SFM과 CFM과는 달리 PFM은 고유의 값이 아니라 특정 객체를 가르키는 값이다.  아래의 그림처럼 PartyActivity, PartyFragment 내부에 여러개의 PayFragment를 둔다고 해보자. 그러면 이들의 관계는 PartyActivity가 최상위 부모, PartyFragment는 부모, PayFragment는 자손이 되는 형태가 될 것이다. 

     

    PartyActivity -> PartyFragment -> PayFragment

     

    그러면 각각의 UI 요소들이 갖고 있는 FragmentManager는 아래와 같은 형태를 따르게 된다. 붉은 선으로 표현한 부분은 서로 동일한 객체인 것을 의미한다. Activity의 SFM을 이용해서 PartyFragment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PFM는 부모인 PartyActivity 의 고유 FragmentManager, SFM을 가리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PayFragment는 PartyFragment의 CFM으로부터 생성 됐으므로 PayFragment의 PFM은 부모인 PartyFragment의 CFM을 가리키게 된다.

     

    PayFragment를 PartyFragment의 CFM을 이용해서 생성한 경우

     

    로그를 통해 객체의 값을 확인해보면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artyFragment의 PFM 값은 PartyActivity의 SFM과 동일하고, PayFragment의 PFM값은 PartyFragment의 CFM과 동일하다.

     

    UI 클래스 별로 PFM, SFM, CFM의 값을 출력한 결과

    2. 주의점

     

    PayFragment를 PartyFragment의 CFM으로 생성하지 않고 PFM으로 생성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그림이 달라진다. PartyFragment의 PFM은 PartyActivity의 SFM이며 PayFragment의 생성주체는 PartyActivity의 SFM이기 때문에, PayFragment의 PFM은 자연스레 PartyActivity의 SFM을 가리키게 된다.

     

    PayFragment를 PartyFragment의 PFM으로 생성한 경우

     

    물론 이런 형태여도 동작하는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FragmentManager는 Fragment와 생성주기를 함께 하기 때문에, PartyFragment가 삭제되도 PayFragment는 SFM의 인스턴스로 남아있게 된다. 물론 이게 남아있는다고 동작상에 크게 흠을 주거나 메모리 릭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의도하지 않은 형태로 개발을 하다보면 정체모를 버그가 튀어나올 수 있으니 염두에두고 있는게 좋을 것 같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