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
golang 장단점 분석 (vs JAVA)개발 2022. 3. 10. 14:49
장점 빠르다 Java는 JVM 위에서 돌아가기 때문에 실행하기 위해선 byte코드를 machine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반면 golang은 빌드과정에서 이미 machine코드로 변환했기 때문에 바로 동작할 수 있다. 빌드에 걸리는 시간도 GO 언어 내부적으로 최적화를 많이 해둬서 빠른편이다. 초기 C++에서 실용성을 추가한 버전이기 때문에 속도는 거의 C++과 비슷하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비동기 작업이 쉽다 GO 언어에는 goroutine이라는 비동기 작업 처리용 경량 쓰레드가 있다. 코틀린에 coroutine과 비슷한 원리인데 둘다 사용해본 입장에선 goroutine이 좀더 간결하고 쓰기 간편했다. Nodejs 가 갖고 있는 비동기처리의 장점을 go 언어 상에도 잘 녹여낸 것 같다. 배..
-
Flutter - Row, Column, Flexible, Expanded개발 2022. 3. 1. 12:45
Flutter UI의 기본 위젯인 Row, Column, Flexible, Expanded에 대해서 알아보자. Row Flutter에서 Row 위젯은 안드로이드로 치면 LinearLayout 이면서 Orientation 이 Horizontal 인 뷰이다. Row 위젯에서 Children의 아이템으로 선언된 위젯은 동일한 Y축에서 순서대로 정렬된다. 아래 코드는 Row 의 children 속성에 두개의 Container 위젯과 하나의 Text 예제를 선언한 결과다. 그 아래 그림처럼 두 개의 Container와 하나의 Text 위젯이 그려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hild: Container( color: Colors.white, child: Row( children: [ Container(heigh..
-
PostgreSQL VACUUM개발 2022. 2. 17. 20:20
PostgreSQL 에서 delete를 이용해서 삭제를 수행하는 경우 DB 데이터 상에서는 지워지지만 스토리지 상에서는 바로 삭제하진 않는다. 삭제된 자료를 다른 트랜잭션 상에서 사용하고 있다면 그 자료가 지워져선 안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자료가 스토리지 상에 계속 남아 있다면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PostgreSQL 에서는 VACUUM 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위와 같은 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영어단어 '청소기를 돌리다'는 의미와 비슷하게 VACUUM 명령어도 데이터베이스 상에 먼지처럼 남겨진 데이터를 정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VACUUM 명령어는 크게 두가지로 분리할 수 있다. VACUUM 테이블과 인덱스에서 삭제된 자료(old v..
-
Javascript 동치비교개발/삽질 기록 2022. 2. 11. 20:20
Javascript 에서는 다른 언어랑 다르게 비교 연산자로 '==' 뿐만 아니라 '===' 가 있어 다른 변수와 비교할 때마다 내가 짠 코드가 정확한 건지 아닌지 헷갈릴 때가 종종 있다. '==' 는 느슨한 비교 연산자고 '===' 는 엄격한 비교 연산자인데 사용할 때마다 결과가 달라 이번 포스트에서는 Javascript 비교 연산자를 깔끔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string 비교 연산 변수와 상수형 문자열 사이의 비교는 '==' 든 '==='를 사용하든 상관 없다. 아래 코드를 보면 두개의 비교 연산 모두 true로 리턴하게 된다. const simple = "simple" const is = simple === 'simple' ? 'is' : 'is not' // true, is='is' const ..
-
go - goroutine개발 2022. 2. 3. 21:44
고루틴 은 go 언어 내부에서 비동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쓰레드 라이브러리다. Go 내부에서 스케줄러에 의해 자체적으로 관리되며 OS 에서 관리하는 경량 쓰레드보다 더 경량이라고 하니 go 언어를 만들면서 쓰레드 작업을 최적화 하는데 많은 심혈을 기울였다고 볼 수 있다. Kotlin의 Coroutine과 비슷하면서도 쓰레드 설정이나 suspend 함수 같은게 없어 간소화된 형태다. Java 에서 쓰레드 문제로 몸살을 겪었다면 go 언어에서는 goroutine을 이용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사용법 함수 앞에 간단하게 go 만 붙여주면 goroutine 을 사용해서 실행하게 된다. func bark() { fmt.Println("bark") } func main() { go bark()..
-
kotlin data class 는 상속을 가능하면 쓰지 말자개발/삽질 기록 2021. 12. 8. 22:06
kotlin data class는 데이터만 보유하는 클래스를 만들 때 관리하기 용이한 클래스다. data class 로 클래스를 만들면 객체 간의 동등성 비교시 사용되는 hashCode 함수를 자동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단순히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데이터간의 비교도 쉬워진다. 여기서 hashCode 함수는 생성자의 멤버 변수의 값으로 만들어 지는데 이것은 객체 간의 비교를 주소값으로 하지 않고 객체의 멤버변수의 값으로 하기 위함이다. 아래의 User 데이터 클래스로 선언된 a, b 변수는 모두 다른 메모리에서 선언 됐지만 hashCode 상으로는 동일한 값을 보이므로 동등성 비교에서는 같은 값을 보인다. data class User(val age: Int, val name: String) f..
-
멀티 서버 환경에서 Socket.io 사용하기개발/nodejs 2021. 11. 29. 20:00
서버 인스턴스가 하나로 이뤄진 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소켓 통신은 그림 1 처럼 하나의 서버에서 모든 소켓 세션을 관리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Server1 이 클라이언트와 연결된 모든 소켓 세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Event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그림 1에서 서버를 하나 늘리면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소켓 통신은 그림 2처럼 된다. 클라이언트는 최초에 접속한 서버에 대해서 소켓 세션을 유지하게 되므로 Server1와 Server2 모두 별도의 소켓 세션을 갖게 된다. 그림 2와 같은 형태에서 Server1 에서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이벤트를 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림 3에서도 알 수 있듯이 Server1과 Client 2 간의 소켓 연결 세션이 없으므로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