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응집도(Cohesion)와 결합도(Coupling)개발/아키텍처 2021. 7. 10. 12:16
모듈 응집도와 결합도를 설명하기 위해선 모듈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야하는데 모듈은 문맥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서 이 글에서는 클래스나 패키지, 라이브러리 같은 프로그램을 이루는 임의의 요소로 정의한다. 응집도 모듈을 이루는 요소들의 연관성 척도다. 클래스내의 함수와 변수, 더 큰 범위에선 패키지 내의 개별 클래스가 하나의 목적으로 연관관계가 이뤄질 경우 응집도가 높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응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응집도가 높을 수록 소프트웨어를 수정 할 경우 변경하게될 범위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좋은 설계로 본다. 반대로 응집도가 낮을 수록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하는 이유가 많아지기 때문에 좋은 설계로 보기 어렵다. 결합도 소프트웨어를 구성한 여러 모듈은 서로를 호출하는 관계를 가지게 되는..
-
Single, Maybe, Completable개발/안드로이드 2021. 7. 4. 17:59
RxJava2 들어오면서 Single, Maybe, Completable Observable이 추가됐다. 개발 할 때는 Single만 사용했었는데 이번 포스트에서 자주 쓰지 않은 Maybe, Completable에 대해서 배워보고 앞으로 용도에 맞춰서 사용해보려고 한다. Single 단일의 데이터 보내거나 에러를 내는 Observable이다. 주로 서버로부터 http 데이터를 받아올 때 사용한다. 아래 처럼 단일 데이터 객체인 Post를 받아오는 api를 사용한다면 Single로 Observable을 받고 doOnSuccess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열어 볼 수 있다. 에러인 경우에는 doOnError를 실행한다 interface RxApi { @GET("api/v1/post") fun getPost(@Qu..
-
Serializable 과 Parcelable개발/안드로이드 2021. 6. 19. 14:03
Serializable Serialization(직렬화)란 자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하는 객체를 외부의 자바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byte형태로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기술을 말하며 안드로이드 상에선 직렬화를 이용해 액티비티간 또는 서비스간 클래스 타입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용도로 주로 사용한다 아래 처럼 Student 클래스를 Serializable 선언 해준다면, 다른 액티비티에 클래스 형태 그대로 값을 전달 해줄 수 있다. Serializaable 선언 외에 추가하는 코드가 없어서 사용하기 정말 편리하다. data class Student(val name: String, val age: Int) : Serializable val intent = Intent().apply { this.putEx..
-
kotlin lateinit, lazy by개발/안드로이드 2021. 6. 5. 14:59
자바에서 흔히 보게 되는 NullPointerException 문제를 예방하고자 코틀린에서는 변수 선언에서부터 Nullable 변수의 선언부터 엄격하게 관리한다. 변수를 선언 할 때도 Nullable인지 아닌지를 구분해야하고 Nullable인 경우에는 변수를 호출하는 코드에서 Nullsafe 지시자를 표시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컴파일 단계에서 에러를 발생시킨다. var name: String? = null name = "abcd" name?.length() // name이 여전히 null 일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null safe 접근만 허용된다 var name2: String = "abcd" name2 = null // name2가 nullable하지 않으므로 이 코드는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그런데 ..
-
멀티쓰레드 동시성개발/컴퓨터사이언스 2021. 6. 5. 14:06
멀티 쓰레드 환경은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 여러 개의 쓰레드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쓰레드는 고유의 작업을 하면서 쓰레드 내에서 할당된 변수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내에 있는 변수에도 접근 할 수 있는데 이때 여러 개의 쓰레드가 같은 데이터에 접근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 그림은 스레드A, B가 프로세스 내에 상주한 정수형 변수 a에 접근하는 경우다. 둘다 read 명령으로 접근 하기 때문에 변수의 값이 변할 염려가 없다. 쓰레드 A, B 모두 변수의 값을 3으로 읽어오기 때문에 예상하지 못한 값을 읽어오게 되는 경우는 없다. 이 경우에는 동시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위 그림에선 쓰레드 A가 a의 값을 1만큼 더해주는 작업을 하는데 이때는 접근 순서에 따..
-
프로스세와 스레드개발/컴퓨터사이언스 2021. 6. 5. 13:42
프로세스 (Process) 프로세스는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다. 현재 글을 쓰고 있는 크롬 웹브라우저, 스마트폰에서 사용중인 넷플릭스, 카카오 앱도 모두 운영체제내에선 프로세스 단위로 이뤄진다. 특정 프로그램의 경우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로 이뤄지는 경우도 있으나 하나의 프로세스로 이뤄진 경우가 일반적이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 고유 스케줄링에 관리를 받는다. 우리가 스마트폰에서 구글 뮤직 앱으로 음악을 들으면서 카톡을 할 수 있는 것도 구글 뮤직 앱 프로세스와 카톡 프로세스가 운영체제 스케줄링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이 프로세스의 형태로 이뤄진 것도 어찌보면 운영체제 내에서 동작을 관리하기 위함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쓰레드 (Thread) 프로세스내에서 실행되는 작업 단위다..
-
메뉴 리뉴얼알고리즘/프로그래머스 2021. 5. 29. 18:09
문제 푸는 키 포인트는 두개다. 1. 손님들마다 주문한 단품 메뉴 목록에서 가능한 조합을 목록으로 만든다. 손님이 최대 주문 할 수 있는 단품 메뉴의 개수가 10개다. 그러면 10개로 만들 수 있는 조합의 개수는 2^10 - 1개. 알고리즘 시험 문제에서 풀 수 있을 만큼의 범위다. 단품의 개수가 2개 이상인 조합만 고려대상이지만 이건 일단 무시하도록 하자. 코딩으로 조합 목록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을텐데 내 경우에는 비트마스크를 사용했다. 만약 손님이 5개를 주문 했다면 총 31가지 조합이 만들어지므로, 1 ~ 31 까지 For 루프를 돌고 각 회차별로 비트를 확인 해서 단품 목록을 포함 시킬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한다. for (int i = 0; i < orders.size(); i++) {..
-
Kotlin - Coroutine개발/안드로이드 2021. 5. 21. 20:00
Coroutine을 공부할 때 당장 실행되는 코드를 짜려고 launch, async 함수부터 먼저 써보게 되는데(과거의 나) 이것보단 Coroutine을 이루는 구조가 무엇인지를 먼저 공부하고 유틸리티 함수를 사용하면 훨씬 이해하기가 쉽다. Coroutine을 이루는 구조는 크게 CoroutineScope과 CoroutineContext다. 아래 그림으로 보면 CoroutineScope이 CoroutineContext를 포함하는 관계다. 1. CoroutineScope CoroutineScope은 Coroutine이 활동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Coroutine이 ViewModel의 생성주기 내에서만 동작하게 할 수 있고 Activity Lifecyle 생명주기를 따라서 동작하게 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