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otlin - Coroutine
    개발/안드로이드 2021. 5. 21. 20:00

    Coroutine을 공부할 때 당장 실행되는 코드를 짜려고 launch, async 함수부터 먼저 써보게 되는데(과거의 나) 이것보단 Coroutine을 이루는 구조가 무엇인지를 먼저 공부하고 유틸리티 함수를 사용하면 훨씬 이해하기가 쉽다.  Coroutine을 이루는 구조는 크게 CoroutineScope과 CoroutineContext다. 아래 그림으로 보면 CoroutineScope이 CoroutineContext를 포함하는 관계다.

     

     

    1. CoroutineScope

     

    CoroutineScope은 Coroutine이 활동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Coroutine이 ViewModel의 생성주기 내에서만 동작하게 할 수 있고 Activity Lifecyle 생명주기를 따라서 동작하게 할 수 있는데 CoroutineScope은 Coroutine의 활동범위를 말한다. 이 속성을 잘 이용하면 Component의 생성주기에 맞춰 Coroutine 작업을 자동으로 취소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 Kotlin에서는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몇가지 CoroutineScope을 미리 만들어뒀다. 

     

    • GlobalScope: 앱 프로세스의 생명주기를 따라감. 
    • MainScope: UI 관련 작업을 처리하는 용도.
    • ViewmodelScope: ViewModel의 생성주기를 따라감.
    • LifecycleScope: Activity, Fragment의 생명주기를 따라감. 생명주기별로 콜백이 다르다.
    MainScope().launch {}
    
    GlobalScope.launch {}

     

    CoroutineScope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커스텀한 CoroutineScope을 만들수도 있긴 한데 공식 문서에서 이 방법은 추천하진 않고 있다.

     

    2. CoroutineContext 

     

    CoroutineContext는 Coroutine을 이루는 정보다. Coroutine 이름, Job, Dispatcher, ExceptionHandler 가 이에 해당한다. Dispatcher는 Coroutine이 실행될 쓰레드 풀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Main, IO 쓰레드 풀이 있어서 UI 작업의 경우에는 Main, 디스크 작업에는 IO 쓰레드를 사용하도록 지정 할 수 있다. Executo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커스텀으로 만든 쓰레드 풀에도 지정이 가능하다. 아래 코드는 우선순위가 높은 쓰레드 풀에서 동작하는 CoroutineScope을 만든 예다.

     

    val customExecutor: Executor = Executors.newCachedThreadPool { r ->
        Thread(r, "CustomThread").apply {
            priority = Thread.MIN_PRIORITY
        }
    }
    val customDispatcher = object : CoroutineDispatcher() {
        override fun dispatch(context: CoroutineContext, block: Runnable) {
            customExecutor.execute(block)
        }
    }
    
    CoroutineScope(customDispatcher).launch {
    
    }

     

    ExceptionHandler는 Coroutine 내의 코드 실행중 발생하는 Exception을 처리할 수 있는 Handler다. 현재 Scope 별로 Exception Handler를 다르게 둘 수 있기 때문에 이것도 잘 써먹으면 유용하다. 

     

    val handler = CoroutineExceptionHandler { context, th->
        println("$context ${th.toString()} ")
    }
    
    GlobalScope.launch(handler) {
        val async1 = async(){ 1 }
    }

     

    3. Utility 함수 

     

    3.1 launch

     

    launch 함수는 CoroutineScope내에서 실행되며, 현재 쓰레드를 막지 않고(blocking)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Coroutine Job을 생성한다. 병렬로 수행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때 쓰면 좋다. 아래 코드는 GlobalScope 내에서 두개의 Coroutine Job을 생성한 코드다. 앞에 코드에 300ms 의 딜레이를 줬다. 그 결과 scope2가 먼저 프린트 되고, scope1은 그 이후에 프린트 된다.

     

    GlobalScope.launch {
        launch {
            delay(300)
            println("scope1")
        }
        launch {
            println("scope2")
        }
    }
    
    2021-05-21 16:14:17.677 I/System.out: scope2
    2021-05-21 16:14:17.978 I/System.out: scope1

     

    Job 내부 함수인 join() 은 동시성을 제어할 수 있는 함수다. 현재 Coroutine의 실행이 종료되지 않을 때까지 다음 코드를 실행하지 않는다. 순서를 관리할 때는 이 함수를 쓰면 된다. 그리고 cancel() 처럼 취소할 수 있는 함수도 있다. 이건 실제로 사용하다 보면 어떻게 써야하는지 감이 온다.

     

    3.2 async 

     

    async 함수는 launch 와 거의 동일하고 결과 값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추가 됐다. 아래 코드의 두 async Job은 각각 1, 2를 리턴하는 CoroutineScope이다. async 내부 await() 함수는 여기서 실행된 결과 값을 받아오게 된다. 여기서 주의깊게 볼 부분은 각각에 delay를 300ms, 100ms 씩 줬는데도 start 로그로부터 결과 값까지 걸린 시간은 둘의 합인 400ms가 아니라 가장 긴 delay인 300ms라는 점이다. 두 Job을 병렬로 처리했기 때문에 가장 delay를 오래 잡는 Job의 시간만큼 소요된다.

     

    GlobalScope.launch {
        println("start")
        val a = async {
            delay(300)
            1
        }
        val b = async {
            delay(100)
            2
        }
    
        println("a + b = ${a.await() + b.await()}")
    }
    
    2021-05-21 16:22:19.885 I/System.out: start
    2021-05-21 16:22:20.190 I/System.out: a + b = 3

     

    3.3 withContext 

     

    동일한 CoroutineScope 내에서도 종종 Coroutine Context를 바꿔야 할 일이 생긴다. 예를 들면 I/O 작업을 수행 중에도 중간중간 화면 UI를 업데이트 해야하는 경우 Dispatcher를 바꿔 코드에 적용하는 쓰레드를 변경해야한다. 이럴때 쓰면 유용한 함수가 withContext다. 아래 코드는 I/O 스레드 풀에서 "abc", "def"라는 문자열을 받아오고 두 문자를 합해서 text라는 변수를 만들었다. UI 에 적용하려면 withContext를 이용해 임시로 Main함수로 바꿔주어 UI 컴포넌트에 접근 할 수 있다. 참고로 withContext는 내부적으로 async{}.await()로 구현돼 있어 내부 코드가 모두 실행된 다음에 다음 코드로 넘어가게된다. 

     

    CoroutineScope(Dispatchers.IO).launch {
        val a = async {
            "abc"
        }
        val b = async {
            "def"
        }
        
        val text = a.await() + b.await()
        
        withContext(Dispatchers.Main) {
            textView.text = text
        }
    }

    '개발 >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ializable 과 Parcelable  (0) 2021.06.19
    kotlin lateinit, lazy by  (0) 2021.06.05
    Android 10 스토리지 정책 대처하기  (2) 2021.05.18
    다음 페이지가 살짝 보이는 ViewPager2 만들기  (0) 2021.05.13
    움직이는 TextView  (0) 2021.05.11

    댓글

Designed by Tistory.